경기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정책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 등록 2024.02.05 11:00:38
크게보기

[경기도 =황규진기자경기도는 지난해 2월 시작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기본계획 및 비전·발전전략 수립정책연구용역이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기도는 지난 21일 경기도청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를 비롯한 도의원과 경기도 및 경기북부 10개 시·군 경기북부특별치도 업무 관련 실·국장, 외부전문가가 함께한 가운데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최종보고회는 도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해 지난해 10월과 11월에 경기북부 10개 시군을 순회하며, ‘시군별 비전 공청회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최종보고 성과물에 대한 설명과 소통을 하고자 마련했다.

경기연구원 이정훈 박사는 최종보고회 주제 발표를 맡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특별법()과 비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경기북부 권역별/시군별 과제를 제시했다.

먼저 ‘(가칭)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평화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경기북부를 국제평화의 상징으로 브랜드화하여 연구개발특구 지정 제평화연구개발센터 설립 외국인의 입국·체류 특례 여행객에 대한 관세 등의 면제 또는 환급 경기북부투자진흥지구의 지정 등을 제시했다.

이어, 경기북부 발전 5대 전략 (4대 성장동력 9대 전략산업벨트 육성 GTX·광역교통인프라 및 복합환승거점 구축 중첩규제 개선 경기국제평화자유도시 조성 지역간 상생모델 구축)을 바탕으로 경기북부의 비전을 발표했다.

또한, 경기북부 발전 5대 전략 실행으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가 설치된다면 2040년 기준 그렇지 않았을 경우보다 경기북부 GRDP 26.57조원 증가, 한국 GDP 139.42조 원이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하며 (가칭)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 박사는 이번 정책연구용역 결과를 기반으로 경기북부 10개 시군별 전에 대한 세부 실천 전략과 실질적 실행 방안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다고 밝혔다.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기본계획 등 기본 골격은 어느 정도 마련되었고 부족한 부분들은 올해 경기북부 시·군별 비전 작업을 통해 보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황규진 기자 guj114@naver.com
<저작권자 매이킹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메이킹뉴스: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오성한음로 140 발행인, 편집인: 황규진 | 전화번호 : 031-542-1554 | 팩스 : 031-542-1554 등록번호 : 경기, 아51620 등록일 : 2017년 08월28일 Copyright 메이킹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