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난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489명에 상담·영상 삭제 등 통합 지원

  • 등록 2024.03.12 13:34:35
크게보기

[경기도=황규진기자기도가 경기도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를 통해 지난 한 해 동안 피해자 489명에게 상담, 피해영상물 삭제, 법률지원, 수사 연계, 심리 치유 지원 등 18662건을 지원했다고 12일 밝혔다.


피해자 현황

피해자 489명은 신규 접수 303명과 센터가 개소한 2021년 이후 지속 지원받은 186명이다. 지난해 새롭게 지원받은 피해자 303명을 살펴보면 여성 224(73.9%), 남성 74(24.4%), 미상 5(1.7%) 순이었다. 연령대로는 10 132(43.6%), 2087(28.7%), 3038(12.5%), 4013(4.3%), 5010(3.3%) 등 전 연령대에서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발생했다.

서비스 지원 현황

센터는 이러한 피해에 대해 삭제지원 13704(73.4%), 상담지원 4386(23.5%), 안심지지 동반 및 수사 지원 205(1.1%), 법률지원 30(0.2%), 심리치유프로그램 246(1.3%), 의료비 지원 44(0.2%), 유관기관 연계 47(0.3%) 18862건을 지원했다.

피해 유형

상담 결과 피해 유형(복수 가능)으로는 유포불안(유포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촬영 사실이 있어 불안을 호소하는 경우)217(30.6%)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피해영상물 유포 116(16.4%), 유포 협박 84(11.8%), 불법촬영 79(11.1%), 몸캠피싱(화상채팅 영상을 빌미로 협박 후 금전 갈취) 57(8%), 온라인 그루밍 36(5.1%), 불법합성 및 도용 36(5.1%) 순으로 다양하고 복합적인 피해 유형을 보였다.

가해자 유형

가해자 유형으로는 온라인 또는 일회성으로 만난 일시적 관계 116(38.3%), 배우자와 전 연인 등 친밀한 관계가 55(18.2%), 학교 및 직장 등에서 만난 사회적 관계가 54(17.8%), 모르는 사람 37(12.2%) 순으로 나타났다.

플랫폼별 삭제지원 현황

삭제지원 현황을 플랫폼별로 살펴보면 성인사이트 7338(65.5%), 검색엔진 1889(16.9%), 기타 1521(13.6%), 누리소통망(SNS) 346(3.1%), P2P(개인 기기간의 연결로 파일을 공유하는 사이트) 108(1%) 순이었다.

이밖에도 도는 여성폭력 관련기관 종사자와 이용자, 도내 초중고 교사, 경기도민 등 4374명을 대상으로 83회 예방 및 대처 교육을 진행했다. 도민 대응감시단 31명을 구성해 검색엔진과 누리소통망(SNS) 상의 디지털성범죄 관련 유해 게시물을 감시하고 총 4221건을 신고하는 등 디지털 성범죄 대응력을 강화했다.

한편 경기도는 디지털성범죄, 스토킹, 데이트폭력, 성폭력, 성매매 등 젠더폭력에 대응하기 위해 피해 접수부터 맞춤형 서비스 지원, 체계적인 기관 연계, 폭력 예방까지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경기도 젠더폭력 통합대응센터를 5월부터 운영한다.

경기도에 거주, 재직, 재학 중이라면 누구나 전화 상담(1544-9112)과 카카오톡 채널(031cut), 전자우편(031cut@gwff.kr)으로 디지털성범죄 피해 , 삭제 및 모니터링, 수사 및 법률지원, 심리 치유, 의료 지원, 안심지 동반, 전문심리상담연계 등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 지원센터를 설치해 피해자들의 피해 상황을 극복하고 일상생활 회복을 지원하는 등 성과를 보였“3년간의 피해자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젠더폭력 대응정책의 콘트롤타워인 젠더폭력 통합대응센터를 운영해 피해자 중심의 통합 서비스를 확대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황규진 기자 guj114@naver.com
<저작권자 매이킹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메이킹뉴스: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오성한음로 140 발행인, 편집인: 황규진 | 전화번호 : 031-542-1554 | 팩스 : 031-542-1554 등록번호 : 경기, 아51620 등록일 : 2017년 08월28일 Copyright 메이킹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