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사회 초년생’ 노동 안전망 강화‥가상현실(vr) 등 체험형 산업안전교육 도입

[경기도 =황규진기자최근 사회초년생 노동자의 산업재해가 잇따르자 경기도가 올해부터 도내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 첫발 예비노동자 산업안전교육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사회 첫발 예비노동자 산업안전교육은 산업안전사고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사회초년생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노동안전망을 강화하고자 민선 8기 경기도가 경기도교육청과 협업해 올해 새로이 도입하는 사업이다.

시범사업 첫해인 올해는 1124일 여주제일고를 시작으로 오는 1229일 의정부공고까지 도내 총 13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계 고교 학생 937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추진한다.

도내 109개 직업계 고등학교 중 학사 일정과 안전교육 실시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업 대상 학교를 선정했다.

이번 사업은 노동권 및 산재예방 전문 강사가 직접 학교를 찾아가 아직 본격적으로 산업현장을 경험하기 전인 학생을 대상으로 제조·건설 현장 내 안전조치 방법 등에 대해 교육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학생들의 흥미를 끌도록 건설, 기계, 전기·전자, 서비스 등 분야별 사례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접목해 맞춤형 교육을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대면식 이론 강의 외에도 지게차, 추락, 밀폐 등 다양한 산업재해 상황에 대해 가상현실(VR) 장비를 통해 체험해보고 사업장의 위험요인과 개선점, 대처방안 등을 찾아보는 학습 기회도 제공한다.

도는 이번 시범사업 추진 후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보완해 내년부터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장 중심의 산업안전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전문가 강의와 실습 현장을 연계하는 방안과 함께, 사회초년생 근무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해·위험 요인을 컨설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강현도 노동국장은 이번 사업은 이론과 실습 등 현장 중심의 교육으로 사회초년생들을 위한 노동 안전망을 한층 더 강화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예비 노동자들을 위한 산업안전 문화가 확산·정착하도록 지속해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도, 국내복귀기업에 제조자동화 혁신 비용 최대 5억 원 지원 [경기도=황규진기자] 경기도가 해외에서 국내로 돌아온 국내복귀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제조자동화 구축비로 7년간 최대 5억 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국내복귀기업 지원사업’ 참가기업을 5월 17일까지 모집한다. 2020년 시작된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부터 ‘지원대상 국내복귀기업 선정확인서’를 발급받은 경기도 소재 기업이다. 제조자동화를 위해 선정 기업에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며, 최대 7년간 선정 시 지원가능한 누적 금액은 5억 원이다. 도는 기업 선정 과정에서 신규지원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고 복귀 후 7년 경과 또는 해당 사업 지원금 5억 원 이상 수혜기업을 졸업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같은 지원사업으로 현재까지 20개 기업이 경기도로 복귀했으며, 5개 사가 졸업할 예정이다. 도는 첨단기술산업 등 우수 복귀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협업해 해외진출기업의 현황과 국내복귀의향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모집 공고는 이지비즈(www.egbiz.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투자유치TF(031-259-7012)로 문의하면 된다. 이민우 경기도 투자통상과장은 “이번 제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