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하안전지킴이와 지하개발사업장 21곳 현장점검

[경기도=황규진기자경기도는 지하안전 전문가 42명으로 구성된 경기지하안전지킴이7개 시(용인시, 광명시, 의정부시, 파주시, 시흥시, 광명시, 하남시) 지하개발 사업장 21곳에 대한 현장점검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현장점검은 지난 달 23일부터 37일까지 진행됐다. 점검결과 지하개발 사업장 개선사항 71건을 발굴해 현장 내 위험구간(추락 등) 안전간판 추가 설치, 수해 방지대책 수립시 최근 강수량 반영 등 66건이 개선됐으며, 5건도 5월 중 완료될 예정이다.

점검은 터파기 이후 외력에 의한 지반침하, 균열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기후변화에 맞춰 당초 대비 1개월 앞당겨 진행해 점검효과를 높였다.

도는 지난 2020년부터 지반침하 사고 예방을 위해 토질·지질·구조 등 전문가로 구성된 경기지하안전지킴이가 현장자문을 지원하는 정책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 내 지반침하 건수는 2018~2023년간 연평균 46건에서 202429건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도는 또 지난 325일부터 26일까지 2일간 시군 지하안전 업무담당자 및 지하시설물 관리자(·하수관, 도로, 공동구, 지하보도 등) 대상으로 안전점검 방법 등을 외부 강사를 초청해 교육을 추진했다.

도내 31개 시군 공무원 약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반침하사고 예방정책 및 지반침하 발생 시 대응 방안 지하개발 사업장의 효과적인 안전점검 추진방안 지하안전평가 재협의 민원사례 공유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를 통해 담당공무원들의 지하안전관리 직무능력 향상으로 도민이 안전한 경기도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성습 경기도 건설국장은 지반침하 사고 등으로 지하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지하개발 사업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꼼꼼하게 점검할 것이라며 시군 담당자의 직무능력 향상은 도내 지반침하 예방 효과와 직결되므로 이번 지하안전 담당자 교육을 통해 지반침하 예방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국내복귀기업에 제조자동화 혁신 비용 최대 5억 원 지원 [경기도=황규진기자] 경기도가 해외에서 국내로 돌아온 국내복귀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제조자동화 구축비로 7년간 최대 5억 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국내복귀기업 지원사업’ 참가기업을 5월 17일까지 모집한다. 2020년 시작된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으로부터 ‘지원대상 국내복귀기업 선정확인서’를 발급받은 경기도 소재 기업이다. 제조자동화를 위해 선정 기업에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며, 최대 7년간 선정 시 지원가능한 누적 금액은 5억 원이다. 도는 기업 선정 과정에서 신규지원 기업에 가점을 부여하고 복귀 후 7년 경과 또는 해당 사업 지원금 5억 원 이상 수혜기업을 졸업 대상으로 선정한다. 이 같은 지원사업으로 현재까지 20개 기업이 경기도로 복귀했으며, 5개 사가 졸업할 예정이다. 도는 첨단기술산업 등 우수 복귀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협업해 해외진출기업의 현황과 국내복귀의향을 파악하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모집 공고는 이지비즈(www.egbiz.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투자유치TF(031-259-7012)로 문의하면 된다. 이민우 경기도 투자통상과장은 “이번 제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