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북부청사=황규진 기자]경기도가 지난해 계약심사를 통해 1,041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7일 밝혔다. 계약심사는 자치단체 등이 발주하는 공사·용역·물품구매 등 각종 사업을 대상으로 원가산정·공법적용·설계변경 적정성 등을 심사해 예산낭비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제도다. 도는 지난해 도와 시·군,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사업 2,355건, 1조6,638억 원에 대한 계약심사를 실시했다. 세부적으로는 공사가 1,074건으로 1조963억 원에 달했고 용역이 425건 3,923억 원, 물품구매가 856건 1,752억 원 등이다. 심사건수 2,355건은 2016년도 2,113건 대비 242건이 늘어난 것으로 2008년 제도도입 후 최대 처리 건수다. 도는 지난해 경기북부 지역 소재 6개 시군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계약심사를 최초로 도입하여 12건 711억원을 심사, 65억원을 절감했다. 또한, 2016년 7월에 도입한 원가분석 및 공법선정 자문단을 통해 17개 사업 881억 원을 심사해 32억원을 절감했다. 원가분석 및 공법선정 자문단은 토목과 건축 등 15개 분야 45명의 민간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계약심사로 예산을 절감한 사례를 살펴보면 도는 지난해 2월에 자문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의 군사시설보호구역이 추가로 해제된다.” [포천=황규진 기자] 경기 포천시(시장 김종천)는 소흘읍 고모리 일대의 약 520만㎡(약 157만평) 규모의 군사시설보호구역이 국방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 심의위원회 심의가 완료되어 12월 29일 해제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8월 10일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 탄약고 주변의 1,924,206㎡(약58.2만평)는 완전 해제됐으며, 소흘읍 무봉리에 위치한 탄약고 주변지역은 1,272,913㎡(약38.5만평)가 해제됐다. 군부대 탄약고 2개소 통합이전사업 완료에 따른 군사시설 보호구역 3,197,119㎡ 해제에 이어 이번에 5,198,345㎡(약 157만평)가 추가 해제됨으로써, 포천시 내 군사시설보호구역의 총 면적은 222.823㎢로 1년 전에 비해 8.395㎢가 감소되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 해제되는 지역은 소흘읍 고모리 2,074,873㎡, 무봉리 889,753㎡, 이동교리 1,876,193㎡, 초가팔리 357,481㎡, 가산면 정교리 45㎡로서 그동안 지역개발은 물론 주민들이 재산권을 행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던 지역으로, 지난 6월30일 개통된 세종-포천(구리-포천
[경기도북부청사=황규진 기자]내년부터 도내 거주 만18~34세 주 36시간 이상 청년근로자를 대상으로 일하는 청년시리즈(‘청년연금’, ‘청년 마이스터 통장’, ‘청년 복지포인트’)가 시행돼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2월부터는 경기도청과 31개 시·군 민원실에 수어통역사가 배치돼 농아인들의 의사소통을 돕게 된다. 또 서울시에서만 실시했던 노후경유차 운행제한이 수원·고양 등 경기도내 17개시에 등록된 노후경유차까지 확대돼 해당 차량 소유주는 주의해야 한다. 내년부터 달라지는 주요 행정제도와 정책을 일반행정과 산업·경제 등 8개 분야로 나눠 소개한다. ※ 경기도에만 해당하는 정책은 제목 옆에 (경기)로 표시 1. 일반행정 분야 ▲ 경기도지역개발채권 감면·면제 2018년 말까지 연장 (경기) 내년말까지 경기도 지역개발채권 감면·면제 제도가 1년 더 연장돼 배기량 2,000cc 이하의 자동차를 구입할 경우 지역개발채권을 사지 않아도 된다. 다만, 차량 취득가액이 5,000만 원 이상인 비영업용 승용자동차는 배기량에 상관없이 감면·면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내년에는 국가유공자 등이 보철용 차량 교체를 위해 일시적으로 차량을 2대
[경기도북부청사=황규진 기자]경기도가 2018년도 철도건설 사업으로 1조 3,892억 원에 이르는 국비를 확보함에 따라 내년 철도 사업추진에 청신호가 켜졌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18년도 정부 예산안’ 분석 결과 고속철도 2개 사업 414억 원, 광역철도 8개 사업 3,405억 원, 일반철도 8개 사업 9,827억 원, 시설개량 및 승강설비 등 6개 사업 246억 원 등 총 철도사업에 필요한 국비 1조 3,892억 원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초 정부안이었던 1조 1,982억 원보다 1,910억 원이 늘어난 규모다. 특히 경기도 역점사업인 경부선 서정리역과 SRT 지제역을 직접 연결하는 ‘수원발 KTX 직결사업’은 당초 정부안 79억 원 보다 100억 원이 늘어난 179억 원을 확보했으며, 안산 KTX 초지역, 화성 KTX 어천역을 신설하는 ‘인천발 KTX 직결사업’은 235억 원을 확보했다. 광역철도 사업은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560억 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200억 원, 하남선 120억 원, 별내선 960억 원, 수인선 552억 원, 신안산선 100억 원, 진접선 860억 원, 도봉산~옥정 광역전철은
[경기도북부청사=황규진 기자]‘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 지정’의 성과가 경기도 곳곳에서 보고돼 화제다. 시흥 대야·신천동에서 9명의 종업원과 함께 LED 조명 제조공장을 운영하는 소공인 A씨. 그는 오랜 시간 OEM사업을 통해 얻은 제품개발 노하우와 숙련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5년 자체 브랜드를 론칭했다. 그러나 경기둔화와 마케팅 여력부족 등으로 판로개척이라는 높은 벽에 부딪혔다. 상황은 대야·신천동이 경기도 1호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로 선정돼 반전을 맞았다. 이를 통해 A씨는 소공인들간의 협업을 도모, 기술 문제를 개선했고 판로개척을 위한 마케팅 및 2017 금속산업대전 전시회 참가 지원을 받게 됐다. 이는 미국 직접수출 10억 원 계약체결과 120% 매출향상(16억→35억)으로 이어졌고, 3명을 추가 고용할 수 있는 여력까지 생겼다. 낭보는 또 다른 소공인 집적지구인 양주 남면에서도 들려왔다. 섬유원단 제조업자 B씨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신규 아이템으로 아웃도어 원단제품을 개발하려 했으나, 열 저항성을 보완하지 못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해결의 실마리는 올해 9월 남면이 ‘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됨에 따라 찾게 됐다. B씨는 이 지역 소공인 특화
[경기도북부청사=황규진 기자]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열악한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2026년까지 도비 778억 5천만 원을 지원한다. 남경필 도지사는 9일 오전 도시재생뉴딜사업 추진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2017년 7개소를 시작으로 매년 10개소를 선정해 2021년까지 도내 45개 지역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하겠다”면서 “2026년까지 도비와 국비, 기금, 공기업투자금 등 총 6천490억의 사업비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경기도는 전체 재원의 12%인 778억 5천만원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남 지사는 이어 “열악한 주거환경에 범죄 취약지역이라는 오명까지 갖게 된 구도심 지역을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다”면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자생적 경제기반을 갖춘 활력이 넘치는 도시로 확실히 되살리겠다”고 강조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단순 주거정비사업이 아니라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사업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재정 2조원, 기금 5조원, 공기업투자 3조원 등 매년 10조원씩 향후 5년 동안 전국에 총 50조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주민이 원하는 공공시설과 생활편의시설을 공급
[경기도북부청사=황규진 기자]경기도가 2018년도 예산안으로 올해 19조 6,703억원보다 2조 4,294억원이 증가한 22조 997억원을 편성했다. 조청식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은 6일 오후 2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2018년 예산안을 이날 경기도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본 예산안이 20조를 넘은 건 이번이 도 역사상 처음이다. 도는 지난 2015년 2회 추경에 21조 3,450억원을 편성한 사례가 있지만 당시 본예산은 17조 3,323억원이었다. 경기도 2018년 예산안은 19조 2,815억원 규모의 일반회계와 2조 8,182억원 규모의 특별회계로 편성됐다. 일반회계 주요 세입분야를 살펴보면, 내년도 지방세 추계액은 10조 7,498억원이며 국고보조금 등 의존재원은 7조 228억원이다. 세출은 공무원 인건비 등 행정운영경비가 3,662억원, 소방안전특별회계, 재난관리기금 전출금 등 재무활동비 1조 4,736억원, 정책사업에 17조 4,417억원을 편성했다. 정책사업은 시군 및 교육청 전출금 등 법정경비 6조 1,795억원, 국고보조사업 8조 1,650억원, 자체사업 1조 9,278억원 등이다. 자체사업은 경기도가 쓸 수 있는 가용재원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추석을 맞아 지난 7일부터 20일까지 900여건에 달하는 추석 성수식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17건의 부적합 식품을 적발해 압류, 폐기 조치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원은 나물류, 과일류, 떡류, 한과류, 수산물 등 가공식품 314건과 농수산물 610건 등 총 924건에 대한 유해물질 검출여부와 요오드(131I), 세슘(134Cs+137Cs) 등 방사성물질 잔류여부를 집중 검사했다. 검사 결과, 가공식품은 6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참기름 4건은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이 기준치인 0.5%를 초과한 것으로, 1건은 기준치보다 22.8배나 높은 11.4%가 검출됐다. 나머지 2건은 산가가 기준치를 초과한 들기름 1건과, 포장지에는 220g으로 표기하고 실제 중량은 188g밖에 안되는 한과류 1건이 내용량 미달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농산물은 총 11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살충제인 다이아지논이 기준치인 0.05 mg/kg의 14배 이상인 0.77 mg/kg까지 검출된 쑥갓 3건, 살충제와 살균제 성분이 검출된 고춧잎 5건, 청경채 1건, 얼갈이 1건, 대파 1건이 잔류농약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방사성 물질은